안녕하세요. 원제로소프트 김문성 팀장 입니다.
온통 세상이 이글이글 열매를 먹었는지, 숨도 못쉬게 더웠는데,
이제 큰 더위는 한 풀 꺽이는 것 같습니다.
지난달에는 너무 바빠서 레터 발송이 늦어졌네요.
그래서 이번 내 멋대로 news는 더 많은 더 좋은 자료들 공유를 드리겠습니다.
온-오프 커머스 관련 NEWS
1. 네이버 검색엔진 '바로가기'서비스 종료
그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던 '바로가기' 서비스가 7월 10일자로 종료 되었습니다.
'바로가기' 대신에 사이트 검색으로 통합해 버렸습니다.
유통사들은 이게 뭔소리냐고 하실 수 있는데, 자사몰이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분들에게는 조금 큰 이슈입니다.
처음 변경일에는 사이트 순위도 뒤죽박죽이 되고, 자기회사를 키워드 광고해서 상위노출 시켜야 하는 촌극도 벌어졌습니다.
저에게 개인적으로 전화해서 사이트 순위가 바뀌었는데, 어떻하냐고 물어보신 대표님 때문에 혹시나 해서 공유 드립니다. ㅋ
http://bizn.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407011406351&code=930100&med=khan
2. 농협이 이상해요. ㅋ
신규 인수합병으로, 금융, 가전, 농업을 아우르는 문어발 농협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중-소 택배회사를 하나 쇼핑리스트에 올린 모양입니다.
물류잡으면 온라인도 한다고 할 판인입니다.
인력과 시스템이 받쳐준다면 가능할 일이기도 합니다.
부실규모가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아마 하나 남은 우리나라 은행일텐데
엉뚱한 짓으로 삼돌이가 되지 않기를 바래 봅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stock/others/newsview?newsid=20140806172718129
3. '갑 질에 카드깡까지' 조폭 뺨 치는 홈쇼핑들
기사 제목을 그대로 적어 봤습니다.
과도한 경쟁과 국내 내수 유통구조가 홈쇼핑이라는 거대 플랫폼과 만나니...
어쩔 수 없다고 하기에는 문제가 너무 많네요.
기사에는 없지만 제가 알기로는 홈쇼핑 매출을 볼모로 대출업을 하는 캐피털 회사도 있습니다.
아무리 나라가 작고 유통구조 열악하고 매출이 인격이라지만.... 좀 씁쓸합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40806163511179
4. tv 홈쇼핑 5개사, 쇼핑 채널 하나씩 더 늘린다.
위에 기사와 이어져 버렸는데, 의도는 좋지만
과연 매출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브랜딩이 부족한 중소기업이나
농수산물 위주의 방송 편성이 가능할까?
현실적인 눈으로 불때 정권에서 전시행정으로 압력을 좀 넣은 것 같다.
그리고 처음 의도와는 다르게 일부 대기업들의 잔치가 될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40810061003960
5. 은행권에서는 위안하 직거래를 놓고 '최초' 경쟁이 뜨겁습니다.
시진핑 주석과 박근혜 대통령이 연내 원-위안화 현찰 직거래 시장을 개설하기로 합의 했다고 합니다.
........... 잘 될까요? ㅋㅋㅋㅋ
어쨋든 국내 은행들은 움직임이 있는 편이고, 마켓플레이스는 잠잠합니다.
중국쪽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쪽에서는 비슷한 모델로 '보세국제'라는 사이트가
5월에 오픈 했습니다. 아직은 플랫폼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완성이 덜 되어 결론을
말하긴 어렵지만,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우리도 그렇지만 중국쪽도 규제를 푸는 문제가 쉽지 않네요.
국내에 위안화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프라인이 먼저 생길지
온라인이 먼저 생길지 지켜볼 일입니다. .... 유통하시는 분들은 레이더 켜 놓고 계셔야 겠지요. ㅋ
http://media.daum.net/economic/finance/newsview?newsid=20140810154606218
6. 유통형태별 시장 규모 추이를 보여주는 기사입니다.
하반기 시장상황을 체크하기는 좋을 것 같습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074473
7. 늘어나는 유통업체PB.. 깊어가는 제조업체 고민
이미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 역시 하나의 트렌드화 된지 오래입니다.
저는 오히려 다양한 PB상품들이 중-소 제조사들에게는 오히려 돌파구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온라인쪽에서는 상품화 할 아이템들이 조금 있는데, 마땅한 제조사와 연결이 안되네요. ㅜㅜ
패션일부와 식품쪽은 틈새가 있다고 판단 하고 있습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48413.html
-------------------------------------------------------------------------------------------------------
공유하고 싶은 기사
1. 하루에 스팸 문자나 전화를 얼마나 받으세요?
아마도 메일을 받는 분중에도 스팸 메신저를 이용한 마케팅을 하는 분들이 많으실꺼에요.. ㅋ
음... 넓은 의미로 보자면 저도 포함이 되나요? ㅋㅋ
개인정보 보호 이슈와 세월호 이슈로 조금 잠잠했었는데,
다시 스팸전화, 문자, 이메일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스팸 역사 40년을 정리한 기사입니다. ㅋㅋ 추억이 돋네요. ㅋ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277&aid=0003304226&sid1=001
2. 저만 삽질하고 사는 줄 알았더니, 애플도 정말 다양한 시도가 많았네요.
신규사업이라는게 탄력을 받아서 성과로 이어지는게 얼마나 힘든지 요즘 많이 깨닫고 있습니다.
애플에서 요트 제작한 거에서는 뿜었네요. ㅋㅋㅋㅋ
--------------------------------------------------------------------------------------------------------------------------------------------------------------------
첨부파일
1.세렌디피티 - '세렌디피티' 란 '뜻밖의 발견이나 발명' 이라는 의미입니다.
글로벌 온라인 기업들이 어떻게 '세렌디피티'를 만들어 가는지 확인해 볼 수 있는 리포트 입니다.
현실과 이상의 차이가 부럽기만 하네요. ㅜㅜ
2. 손가락 까딱하지 않고 쇼핑하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이 그런 내용인데요.
해당 리포트를 끝까지 꼭 읽어볼 가치가 있습니다.
3. 모바일 UI의 요즘 트렌드를 정리한 리포트 입니다.
누구나 쓰고 있는 스마트폰.... 서비스들..
별거 아닌거 같아도 만드는 사람들은 머리가 매우 아픕니다. ㅋ
'내 멋대로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9호 (0) | 2014.11.09 |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8호 (0) | 2014.11.09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6호 (0) | 2014.11.09 |
김문서의 내 멋대로 NEWS 5호 (0) | 2014.11.09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4호 (0) | 201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