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원제로소프트 김문성입니다.
연일 폭염으로 기상관측이래 5월 중 최고 기록을 갱신하고 있네요.
유통쪽시장에는 에어컨과 제습기가 벌써 난리가 났네요. ㅋ
6월은 본격적인 여름계절 상품과 휴가상품, 캠핌상품들이 폭발적으로 움직이는 기간입니다.
좋은 기획들 많이 하셔서 좋은 성과들로 이어졌으면 합니다.
그리고 6월 4일은 지방선거일 입니다. 소중한 한 표 꼭 행사하시길 바랍니다.
이번에 처음 실시된 사전투표에 저도 참여했는데, 아주 편하게 잘 준비 했더라구요.
선거구 틀려도 주민등록증 만 주면 선거용지도 바로 출력해서 주고....
선거관리위원에서 한 일중에 가장 좋은 제도 인 것 같습니다.
[이알피아_내 멋대로 news]는 제가 개인적으로 페이스북에 공유하는 유통, 온라인 커머스 시장에 관련된
내용들로 2주에 한번씩 모아서 공유 드리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시장돌아가는 상황이나 마케팅 기획에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난 5월에는 커머스 시장에 변화가 많습니다.
1. 네이버 샵n 서비스 종료, 신규 서비스 오픈 예정
2. 다음 + 카카오
3. '아마존' 한국내 서비스 관련 설명회
대략적인 내용은 기사들과 함께 보겠습니다.
---------------------------------------------------------------------------------------------------------------
1. 구글과 네이버의 정반대 행보
전형적인 미국서비스인 구글, 아마존과 네이버의 상반된 행보에 대해서 잘 정리된 기사입니다.
셀러들은 이런 흐름을 잘 읽고 편승해서 매출을 올릴 생각을 하셔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카카오톡이 빠르면 6월 부터 하루 10만원 기준 현금을 송금할 수 있는 온라인 송금서비스를 시작합니다.
기존 모바일 결제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변화하는 모바일 시장의 대형버스에 탑승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는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http://bizn.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405161649361&code=930100&med=khan
3. 4월 1일 만우절 농담으로 했던 이야기들이 현실로 이루어졌네요. ㅋㅋ
왜 하필 다음일까에 대한 부분을 논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카카오는 합병이라는 선택으로 돌파구를 찾은 것 같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네이트 온 꼴이 날 뻔 했는데, 일단은 경영진의 합리적인 판단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뒤쳐진 글로벌 경쟁에서 이겨낼 서비스를 못한다면 네이트 온 꼴을 면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stock/others/newsview?newsid=20140526085406703
4. 다음 + 카카오가 된건 알겠는데, 내 개인정보는 어떻게 되나?
http://media.daum.net/digital/internet/newsview?newsid=20140601085004169
5. 아마존 + 카페24
지난 5월 22일 63빌딩에서 온라인 수출세미나가 있었습니다.
네이트 앳킨스 아마존 동아시아 세일즈 총괄 매니저는 국내 유통시장 진출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로는 할 말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건 언론사를 위해 그냥 던지는 말이고, 실제로는 아마존식 융단 폭격이 시작되었습니다.
카페24는 아마존의 플랫폼에 입점 판매 할 수 있는 서비스로 기존 셀러들이
해외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존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직접 한국에서 플랫폼을 들여오려니 기존의 오픈 마켓들과
치열한 경쟁이 예상이 되고 단기간에 좋은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카페24라는 파트너를 이용해서 국내 셀러들의 상품을 아마존 해외 플랫폼에 판매를 먼저 하는 것으로 전략을 잡은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에 큰 비용의 투자 없이 아마존 플랫폼에 한류상품의 컨텐츠 확보와 매출 증대라는 두 가지 토끼를 다 잡겠다는 의도로 파악이 됩니다.
약 1년간 물밑에서 준비만 하더니 정말 탁원한 전략을 가지고 서비스 오픈을 했습니다. 많이 배운 놈들은 뭐가 달라도 다르네요.
Fulfillment By Amazon(FBA)
2006년부터 시작한 Amazon 물류 서비스로 아마존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업자들이 상품을
아마존의 물류 센터에 보내면 상품을 주문한 소비자에게 아마존이 대신 포장해 배송해주는 서비스임.
- 판매업자들은 아마존물류 센터에 상품을 보내는 배송 비용과 보관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상품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비용에 차이가 있음.
상품 판매수수료를 제외하고 물류서비스를 강제적으로 셀러들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서 수익을 가져가고 있음.
물류배송, 물류보관, cs 등 아마존에서 대행 해주는 서비스 단계별로 일정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음.
아마존의 서비스를 모두 사용하는 셀러들에 대해 노출영역이나 마케팅 적인 이점을 주고 있음
셀러들의 입장에서는 판매 할 상품에 대해 재고를 보유하지 않으면 비즈니스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기존의 여성, 남성의류들이 진입장벽에 하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치열한 국내시장의 경쟁보다는 해외시장이 아직 시장에 대한
먹을 파이가 많이 남아 있어서 커머스 시장의 주요 이슈가 될 예상입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52302011676798005
-------------------------------------------------------------------------------------------------------------------------------=
공유 할만한 기사
1. 주스 단식
제가 개인적으로 관심있어 하는 분야중 하나가 천연주스 관련 시장입니다.
흔한 착즙 이런거 말고 제대로 된 상품화가 된다면, 참 매력있는 시장입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people/newsview?newsid=20140529030916909
2. 스팩(SPAC) 열기가 대단합니다.
ㅋㅋㅋ 기사에는 좋은 내용만 적어놨네요.
반대 경우도 잘 생각보셔야 합니다.
'스팩'을 사용 할지 모르겠지만, 제가 알고 있는 2개 회사정도 준비하는 것 같네요.
하이리스크 하이 리턴입니다. 그리고 제가 체험하기로...
우리나라에 엔젤투자는 없는 것 같습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40601060205835
3. 영원한 승자는 없습니다.
HP 올해 감원을 5만명으로 늘린답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world/newsview?newsid=20140523110511513
'내 멋대로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6호 (0) | 2014.11.09 |
---|---|
김문서의 내 멋대로 NEWS 5호 (0) | 2014.11.09 |
김문서의 내 멋대로 NEWS 3호 (0) | 2014.11.09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2호 (0) | 2014.11.09 |
[내 멋대로 NEWS 1호] - 해외직구 관련 (0) | 201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