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멋대로 NEWS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13호] 온-오프 커머스 동향

by 조선마초 2014. 12. 24.

 

 

 

 

 

안녕하세요. 원제로소프트 김문성입니다. 

오늘 월요일은 눈이 오더니 바람도 많이 불고... 집에가기 싫어집니다. 
야근하기 정말 싫은 월요일이네요. ㅋㅋ 

그래서 오늘은 조금 이른 한 해 마감 인사를 드릴까 합니다. 

스님들 책을 좀 보니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는 가장 큰 이유가 미래를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루하루의 현재가 모여서 내일이 와야 하는데, 오지도 않은 내일을 걱정하느라 지금 현실이 괴로운 것이라고 합니다.
물론 조금 먼 미래를 목표로 하루하루 사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어차피 죽어야 끝나는 거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기대하지 말고' 
'내일은 더 힘들다' 라고 받아들이고 사는데도 쉽지 않네요.  늘 정답은 없지만, 조금 위안이 되실지 모르겠습니다. ㅋ
 
2014년도 1주일 남았습니다. 
늘 연말이 되면 느끼는 거지만, 만족보다는 후회나 아쉬움이 더 남는 것 같습니다. 
예전처럼 연말분위기도 거의 없고, 회사마다 내년도 새로운 사업계획이나 먹거리를 찾는 움직임이 더 많아 보입니다. 
새로운 걸 찾고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올해 못 했던 일중에 내년에 꼭 할 일을 정해 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래서 저는 내년에 하고 싶은 일 보다 올해 하고 싶었는데, 우선순위에 밀려 못했던 일들을 우선순위로 만드는 시간을 가져보고 있습니다. 

다들 그러시겠지만 저도 올해 정말 다양한 프로젝트를 많이 했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를 네이버자료실과 연동해서  B to C 판매를 한 '페어플'도 8월까지 운영을 했었고, 
'셀세이션' 마스크팩 생산 및 브랜딩도 시작했고, 아리랑TV에 글로벌 플랫폼도 제안해보고, '예안촌' 김치 브랜딩도 하고,
기타 제휴 프로젝트도 많이 진행 했었네요. 일은 많이 했는데, 성과가 적어서 오늘까지도 스트레스 받고 있습니다. ㅋㅋㅋ 

제가 올해 한 일중에 참 잘했다고 생각하는 게 지금 보내드리는 '내 멋대로 뉴스' 입니다.
특별한 디자인이나 내용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도 
적어보고 주위분들과 공유도 할 수 있어서 나름 시작하길 잘 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도 꾸준히 진행을 했다는 거에서 의미를 가져보고 있습니다.
금전적으로 비교나 교환이 될 수는 없지만, 다른 프로젝트들 보다 저에게는 보람이 있었습니다.  
내년에도 e-커머스 이슈사항을 주요 내용으로 '내 멋대로 뉴스가' 꾸준히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 해 동안 정말 고생하셨습니다. ^^

내년에는 항상 좋은 일만 있으시길 빕니다. ^^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는 제가 페이스북으로 공유하는 뉴스중에서 
온-오프 커머스 관련 이슈 사항들을 정리해서 비정기적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간혹 좋은 비즈니스 아이디어나 요청을 주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덕분에 저도 공부가 될 때도 많고 힘을 얻을 때도 있습니다. 
감사한 마음으로 조금이라도 좋은 정보가 공유되고 사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14년도 마지막 '내 멋대로 뉴스' 시작합니다. 

 

-오프 커머스 관련 NEW

1. 인터넷쇼핑몰, 결정적 구매동기는?
뻔한 이야기 이지만, 인터넷쇼핑몰에서 구매결정을 하는 가장 큰 동기는 무엇일까요?
해당기사에서 구매결정의 동기 1위는 무료배송 2위는 할인정책이라고 리포트를 하고 있는데,
미국이나 유럽은 그런 결과가 나오겠지만, 한국은 다르다고 봅니다. 
우선 동일 제품군에 대해 말도 안되는 다양한 할인 정책이 들어가 있고, 해외 마켓플레이스는
상품등록의 컨텐츠가 상품 본연 내용을 다루지만, 국내 마켓 컨텐츠는 구매욕구를 불러 일으키는 온갖 장치를 다 동원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가격경쟁으로 밑장을 다 뺴서 영업을 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통업체는 건전한 커머스 시장을 방해하는 악의 축입니다. 
반면에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다양한 컨텐츠의 기획과 제작능력이 앞으로 더 인정받을 수 있는 시장으로 조금씩 변화해 가는 것은 느껴집니다. 
http://www.seri.org/ic/MKCLayer.html?no=10303


2. 아마존 입성준비 끝

   아마존이 강남에 2024년까지 사무실을 계약했다고 합니다.

   몇 년동안 한국시장의 핵심에서 그림자로 지내오더니 준비가 끝난 것 같습니다.

   내년에 아마존이 한국에서 어떤 서비스를 할런지. 기다려 지면서도 우려가 많이 됩니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판매채널로 볼 수 있지만, 전체 시장에서는 누군가 먹히고 누군가 아파야

   아마존이 돈을 벌어가겠지요. 아무튼 내년에 재밋어 질 것 같습니다. ㅋ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366&aid=0000236198&sid1=001


3. 구글하고 아마존 신경전이 대단합니다.

   구글과 아마존의 향후 시장방향에 대해서 직설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스토어팜을 버리지 못하는 것도, 네이버엔터테인먼트가 커머스쪽 비즈니스를 시도하는 것도

   어쩌면 같은 맥락으로 봐야 할 것 입니다.

   공룡들만 살아남는 세상에서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할지 헷갈리시겠지만,

   이제는 본질에 충실하면 되는 시대도 함께 오고 있다고 봅니다.

   좋은 상품과 컨텐츠에 집중해야 할 시기입니다.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16/2014121601720.html

 

 

4.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주목받는 스타트업 TOP 10

    내년도 화두중에 하나가 사물인터넷과 워어러블입니다.

    국내에서도 이슈는 많이 시키고 있는데, 아무래도 스타트업 진입장벽이 높다 보니 국내에는 눈에 뜨이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없네요.

    TOP10에 오른 회사가 모두 외국입니다. ㅜㅡ

    니드가 많이 다르지만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상상만 하던 부분이지만, 무선으로 전력이 충전되는 아이템이 아주 끌립니다.

    여러분은 어떠세요?

http://www.seri.org/ic/MKCLayer.html?no=9876

 

 

5. 스마트시계, 안경, 스마트 셔츠 --> 팔릴까?

   웨어러블 웨어러블 주위에서 많이들 하는데, 기사 내용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아직은 아이디어 상품들이 나오는 초기 시장이지만,

   10년쯤 지나면 건담시리즈나 공상과학 애니에서 나오는 제품을 실제로 사용 할 날이 올 것 같습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41209064212039

 

 

6. 농협이 홈플러스도 넘보네요.

   농협의 쇼핑리스트에 홈플러스도 올랐네요.

   택배하고, 대형마트도 인수하고 이제 조금 있으면 온라인 플랫폼에 크게 투자를 하겠네요.

   솔직한 제 의견은 개인정보 유출이나 운영상의 큰 문제나 없길 바랍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41209071806524

 

------------------------------------------------------------------------------------------------------------------------------

생각해볼 문제

 

1. 12월의 여인 조현아

    요즘 가장 핫한 여자는 조현아 사건 일 것입니다.

    재벌 2, 3세들이 꾸준히 이슈를 만들어줘서 감사합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41218023004293

 

 

2. 12월에 본 가장 화나는 기사

한국경제연구원이 어떤 기능을 하는 곳인지 정확히는 모르나 생산인구가 줄어드니 이민을 확대해야 한다는 논리는 뭔 개소리인가?
물론 현재 불법체류자나 늘어나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정책적 가이드가 필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출산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1순위이지 외국 이민자를 늘리는게 방법인지?

문제의 본질을 좀 파악했으면 좋겠습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41214191109824

 

 

3. 멋지다 딴나라~~

   관심이 없으시겠지만 관심이 필요합니다.

   정당이 해산된 나라는 민주주의를 가지고 있는 정상적인 국가중 독일 밖에 없습니다.

   지난주에 대한민국이 추가되었습니다.

   통진당이 잘했다는 게 아니라 정권을 가진 사람들이 정당을 해산시킬 수 있다는게 문제입니다.

http://www.hankookilbo.com/v/d6927b43d83244eb8ad593294f5585a1

 

-------------------------------------------------------------------------------------------------------------------------------------

첨부파일

 

1. 신사업 성공을 막는 7가지 바이러스

   공감하는 부분이 너무 많아서 공유 드립니다. ㅋㅋㅋ

2. 2015년 ICT 10대 주목 이슈

   kt경제경영연구소에서 좋은 리포트를 만들었네요. ^^

3. 조직내 협력, 과정보다 결과가 중요하다.

   리포트를 보시면 역시 과정이 좋아야 결과도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