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멋대로 NEWS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제 35호]

by 조선마초 2016. 3. 8.

 

 

 

 

 

 

안녕하세요.

위사 www.wisa.co.kr G그룹 김문성 차장입니다.

 

지난주만 해도 함박눈이 펑펑 오더니, 이번주는 봄의 기운이 물씬 느껴집니다.

이제 새로운 봄으로 몸이 적응을 하는 시기인 같습니다.

오늘은 제가 자신에게 묻고 있는 화두를 던져볼까 합니다.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살아남을 없다."

 

누구나 아는 이야기지만 실행하기 어려운 입니다.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 적응하지 못해서 사라진 100 넘은 기업 '코닥'

'노키아의 기적' 보다 세상을 놀라게 '노키아의 몰락'

과거의 영광을 뒤로한 추락 중인, 모토로라, 샤프, 소니 등등등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기업들은 규모에 상관없이 마치 공룡처럼 멸종되어 사라지고 있습니다.

 

제가 옥션 초기판매자를 시작으로 온라인커머스 업계에 발을 들여놨으니 횟수로는 15 정도 됩니다.

시간동안 온라인커머스 업계는 정말 다양한 변화를 거듭하며 고속성장을 왔습니다.

유통 흐름의 변곡점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오픈마켓을 시작으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유통 흐름의 변화

   -오픈마켓, 종합몰, 자사몰, 소셜커머스 기반의 온라인커머스로 유통 권력의 이동이 이루어졌습니다.

 

2. 모바일 커머스

  - 웹기반의 온라인커머스가 모바일커머스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모바일커머스에서 결제되는 비율이 PC 훌쩍 넘은지 오래입니다.  

    카테고리별로 차이는 있지만, 국내 기준 60% 이상,

    해외 기준 80% 이상 모바일 결제시장으로 유통 커머스의 권력이동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3. 크로스보더 트레이드 (Cross Border Trade)

   중간 유통단계를 없앤 국가간의 거래를 이야기 하는 것으로, 해외직구와 역직구가 포함됩니다. 

   용어도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매년 평균 115%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오는데 10 정도 걸렸고,

 모바일은 성숙기는 멀었지만, 지금의 성장이 3년정도 걸린 같습니다.

 한국은 아직 크로스보더 판매가 시작에 불과하지만 해외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15년의 시간 동안 정말 많은 직업이 사라지고 사라진 만큼 새로운 직업들이 생겨났습니다.

 온라인커머스 업계에서 활동을 하고 계신다면 크로스보더 비즈니스에 집중하셔야 합니다.

 어쩌면 올인 하셔야 수도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한국의 산업구조상 유통시장에서

 크로스보더 비즈니스 이외의 성장동력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기존의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업체들은 관심은 있으나 행동을 찾아보기 힘든 현실입니다.

제도적 문제나 언어적 문제는 극복할 있는 방법이 하나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문제는 국내 유통 관행이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어려운 구조이기 입니다.

그렇다면, 해외 시장과 해외 마켓플레이스가 요구하는 기준을 맞춰야 비즈니스가 가능한데,

우리는 구조상 어렵다며 회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향력 있는 업체들이 나서주면 좋겠는데, 그렇지 못한 상황이 안타깝구요.

 

 지난 호에 말씀 드렸던 같은데, 디지털 산업혁명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좋은 상품을 생산할 있는 제조업체에게 멋진 기회들이 많이 찾아 것입니다.

 

 지난 10여년간 온라인 시장이 성장하면서 기존의 기득권 세력인 도매상과 소매상들이 거의 도태되었습니다.

이런 흐름은 '크로스보더'라는 새로운 페러다임에도 동일하게 적용 된다고 봅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변할 있어야 살아남을 있습니다."

 

새로운 혁신은 변방에서 이루어지고, 기득권 세력에 대한 권력이동이 일어납니다.

저도 변방에서 혁신을 만들고자 하고 있고, 현재 크로스보더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흐름에 적응하고 변할 있을지 고민하다 보니 오늘 주제가 다소 무거워졌네요.

 

 

시간을 들이지 않은 일은 시간을 이길 없다고 했습니다.

저를 포함해 지금 시간에도 변화와 혁신을 꿈꾸는 분들에게 응원의 메세지를 전합니다.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는 제가 페이스북으로 공유하는 뉴스 중에서

온-오프 커머스 관련 이슈 사항들을 정리해서 비정기적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084168389

간혹 좋은 비즈니스 아이디어나 요청을 주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덕분에 저도 공부가 될 때도 많고 힘을 얻을 때도 있습니다.

감사한 마음으로 조금이라도 좋은 정보가 공유되고 사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1. 카카오 O2O 무한 확장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4&aid=0003610814&sid1=001

 

요즘 변화된 트렌드를 가장 만들어 내는 것이 '카카오' 같습니다.

택시, 대리운전, 헤어샵 생활 밀착형 O2O서비스를 정말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어떤 서비스들이 끝까지 살아남을 지는 지켜봐야겠으나, 기획하고 실행하는 모습이 많이 부럽습니다. 

 

 

2. 국내 매체별 광고비 시장 규모가 얼마나 될까요?

http://m.newspim.com/news/view/20160302000203

 

방송, 인쇄, 디지털(pc, 모바일), 오프라인 광고 등을 매체라고 부릅니다.

최근 3년간 매체별 광고비 시장규모가 어떻게 이동되고 있는지 판단할 있는 좋은 리포트 입니다.

흔히 예측이 가능하지만, 숫자로 표현을 보니 ㅎㅎ 오히려 괴리감이 있네요.

실든 좋은 우리가 매체사를 끌어가든 끌려거든 일정부분은 안에서 먹고 살고 있네요.

 

 

3.  돈으로 해결하는 제일 쉬웠어요~~!!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6022614045491366&type=outlink 

 

쿠팡과 신세계의 가격경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쟁으로 보여지기도 합니다.

제가 이해가 안가는 거는 가격만 가지고 저러고들 있는지…

아마도 가격경쟁의 피해는 공급업체들에게 책임 전가의 가능성이 높을 텐데...

서비스와 플랫폼으로 경쟁해야 업계 맹주들이 이러구들 있습니다.

역시 대기업 경영진들이나 만한 행동입니다.

솔직히 부럽습니다.

 

 

4. 미국 전자상거래 수입 면세한도 $800 상향

http://www.opencart.kr/2012

 

오함마~ 형님이 멋진 법안을 통과 시켰습니다.

이로써 미국은 크로스보더 시장의 맹주로 등극했습니다.

우리는 미국시장에 어떻게 우리 상품을 많이 판매 있을지 진지한 고민과 행동이 필요합니다.

 

 

5. 텐센트 모바일 산업트렌드 보고서

http://m.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76379

 

모바일 서비스, 크로스보더 중국은 이미 한국을 2 이상 앞질렀다고 봅니다.

중국내 O2O 산업의 성장과 실패 등을 자세히 있는 좋은 뉴스 입니다.

국내 시장에 새로나 서비스를 예측해 수도 있습니다.

이거 재밋어요.

 

 

6. 삼성카드도 매물로 나왔네요.

http://www.sobilife.com/news/articleView.html?idxno=9804

 

최근 삼성의 움직임은 정말 절박해 보입니다.

제일기획 매각 뉴스 충격적인데, 카드사도 매물로 내놨군요.

아무래도 변화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그룹의 구조조정이라고 보이는 부분도 많습니다.

내수시장의 단순 금융업무 회사들이 얼마나 남을까요?

제가 이쪽시장을 몰라서 그런데, 막연히 생각해 보면

인터넷은행이 활성화되서 가장 먼저 인원이 줄어들 조직이 은행이고, 다음 카드사 같습니다.

일부 대면 영업조직 이외에 관리 조직은 거의 필요가 없을 같거든요.

은행원도 점차 사라지는 직업군에 포함될 같습니다.

 

 

7. 인터브랜드_2015 베스트 글로벌 브랜드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52472

 

우리나라 브랜드는 개나 들어가 있을까요?

전에 공유를 했던 건지 기억이 가물가물 합니다.

 

 

8. 영업 판매 프로세스 정의

http://m.blog.naver.com/tockorea/220640061530

 

전문 영업조직에 계신 분들은 많이 내용일 입니다.

오랜만에 봤더니 추억이 돋아서 공유 합니다.

저도 자신을 점검해 보게 됩니다. ^^

 

 

============================================================================

참고 리포트는 쉽니다.

 

날씨가 오락가락 합니다.

감기조심 하시고, 내일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