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멋대로 NEWS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제 36호]

by 조선마초 2016. 4. 4.

 

 

 

안녕하세요. 위사 www.wisa.co.kr G그룹 김문성 차장입니다.

 

봄을 알리는 하얀 매화꽃과 노오란 개나리가 창입니다.

저희는 지난주에 팀장들이 모여서 양평으로 워크샵을 다녀왔습니다.

'해커톤' (hackathon)이라는 협업프로그램을 활용한 '위사톤' 기획했습니다.

https://www.facebook.com/wisapr/videos/1159376817420149/?pnref=story

 

팀장들이 모여서 4 팀을 구성하고 "내가 위사 사장이라면 이렇게 Restart 하겠다!" 라는

주제를 가지고 토론을 하고 우수 아이디어를 시상하고 사내에서 실행하기로 했습니다.

 

저희 팀에서는 가지 부가서비스와 글로벌 온라인쇼핑몰 구축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냈었는데,

아쉽게도 최우수 아이디어는 현실적 접근이 빠른 내부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가 선정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프로그램을 가지고 진행한 워크샵은 처음이었는데,

기존에 교류가 부족한 팀원들과 협업을 통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할 있는

좋은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

 

요즘 날씨가 너무 좋습니다.

이번 다음주 봄이 지나가기 전에 소풍 다녀올 있는 시간을 만들어 보시면 좋겠습니다.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는 제가 페이스북으로 공유하는 뉴스 중에서

온-오프 커머스 관련 이슈 사항들을 정리해서 비정기적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084168389

 

간혹 좋은 비즈니스 아이디어나 협업의 기회도 생깁니다.

사실 제 생각을 정리하면서 공부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감사한 마음으로 조금이라도 좋은 정보가 공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1. 이제는 '비디오커머스' 관심을 가지셔야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9&aid=0002334279&sid1=001

 

2 전부터 '비디오커머스'라는 형태의 모델에 대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이제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상용화 움직임이 보이는데요.

 

요즘 유행하는 마리텔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동영상 컨텐츠를 생방송으로 진행하고 소비자와 실시간 소통을 하며, 구매는 당연히 가능합니다.

 

모든 상품이 해당하지는 않지만, 컨텐츠를 어떻게 만들어가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결과가 나올 같습니다.

기사에서 소개하는 처럼 홈쇼핑과 온라인쇼핑의 중간 형태로 아주 재밌는 시도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홈쇼핑 컨텐츠를 -소기업에서 만들 있고, 동영상 컨텐츠를 마케팅에 활용하고, 고객과 실시간으로 소통이 가능합니다.

진정한 양방향 쇼핑 플랫폼들이 등장하는 거죠.

아직 시장의 강자도 없는 상황이고 교통정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활용 방안을 모색해 봐야 합니다.

 

 

2. 중국, 모든 인터넷사이트 등록-관리 추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8290657&sid1=001&lfrom=facebook

 

중국에서 쏟아지는 It기반의 신규서비스들과 크로스보더 관련된 급진적 제도 개선 과정을 보면

최근 년간 전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는 중국이라고 생각을 왔습니다.

특히 이번달부터 폐지되는 행우세와 새로운 통관시스템은 자국의 시장보호와 시장활성화를

적절히 안배한 중국다운 정책입니다.

 

하지만~ 인터넷 도메인 관리라니요. ~~

중국이 공산국가라는 사실을 이렇게 확인합니다.

흠... 중국답다.

 

 

3. 이랜드 킴스 클럽이 매물로 나왔습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60328113204173

 

요즘 대형 유통업체 대기업 계열사 매물이 넘쳐납니다.

기억에는 IMF이후 최대 물량이 터진 같은데요..

본인들은 아니라고~ 아니라고~ 하시는데…

이랜드가 급하게 킴스클럽을 매각하고 IPO 준비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의 상식으로는 정상적인 구조조정과 투자를 위한 준비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4. MS 채팅봇 '테이' 하루 만에 운영 중단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2&aid=0003036426&sid1=001&lfrom=facebook

 

이세돌 VS 알파고의 대국 이후 AI (artificial intelligence) 전세계적인 화두 입니다.

인공지능이 얼마나 발전해서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할지 혹은 스카이넷 처럼

인간을 지배하게 될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다만, 저의 이번생에는 인공지능의 혜택만 받고 사는 그런 일들이 많이 벌어지기를 바랍니다.

 

MS 채팅봇 '테이' 하루만에 운영 중단이 되었다는데요….

정말 운이 좋았습니다.

저한테 걸렸으면 XXXXXXX XXXXXXX XXXXXX 한국에서 생산되는 정말 다양한 욕설로

반나절이면 서비스를 중지 시켰을 텐데...ㅋㅋㅋㅋ

다음에 서비스 오픈할 때는 제가 참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5. 아마존에서는 조만간 셀카로 결제하겠네요.

http://m.media.daum.net/m/media/digital/newsview/20160316052304544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아마존 만큼 이슈를 만들어내는 회사는 없을 것입니다.

이제는 셀카로 결제하는 방법을 특허 출원 했답니다.

아주 XX 하네요.

저런 다양한 시도를 한다는 , 다양한 시도를 현실로 만들어 낸 다는 것…

사실 많이 부럽습니다.

 

 

6. 산요, 샤프, 도시바까지 중국에 매각됩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60316030626890

 

변화의 흐름에 편승하지 못한 공룡들이 해체되고 있습니다.

그것도 아주 철저히 너덜너덜 헐값에 매각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기업도 얼래? 아차 하다가 갈까봐 겁납니다.

제조는 그나마 여력이 남아 있지만, 유통업은 크로스보더의 등에 올라타지 않으면

후에 기존 일부 대형업체를 제외하고 철저하게 해체 것입니다.

실무를 진행하는 입장에서 저도 준비가 되어 두려운 마음이 많습니다.

날카롭고 거친 폭풍을 버텨서 작은 결과라도 만들어 내고 싶습니다.

 

 

6. 언론 기사를 로봇이 대체할 있을까요?

http://media.daum.net/culture/all/newsview?newsid=20160314070114870

 

AI관련 기사 현실로 체감할 있는 내용이 있어서 공유합니다.

믿겠지만, 미국의 일부 언론사에서는 로봇 작성기사를 도입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같이 단순 사건의 기록 위주 기사는 지금도 바로 로봇이 기사를 대신 작성할 있다고 봅니다.

취재는 사람이 있겠지만, 기사는 사람보다 로봇이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문제는 '' '거짓' 밝혀내는 독자의 직관력이 필요하겠지요.

 

 

7. 노키아의 '화려한 부활' 이끈 3 차세대 기술

http://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92502109931759001

 

노키아의 와신상담이 빛을 가져올 것이라고 보입니다.

제가 노키아를 아주 좋아하거나 팬은 아니지만, 일본의 몰락한 제조회사들이나

미국의 X 회사 매각하고 '바이바이' 하는 사람들이랑 여기는 조금 다른 행보를 보여줍니다.

노키아가 전화기 회사가 아닌 다른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거듭나기를 응원합니다.

 

 

8. 올해 조선일보, 조선비즈 움직임이 활발합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366&aid=0000321120

 

제가 개발자 출신이 아닌지라 마이크로소프트웨어 라는 잡지는 몰랐습니다.

반면에 '미디어잇' ICT전문매체로 깊이 있는 내용이 많아서 저도 개인적으로 좋아합니다.

아쉽네요. 원래 가진 아이덴터티를 유지해서 좋은 기사로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9. 싸게 수록 많이 남는 비즈니스가 있을까요?

http://ppss.kr/archives/38202

 

싸게 수록 이익을 낸다는 '코스트코' 이야기 입니다.

사실 이냐구요? 사실입니다.

발상의 전환이 많이 필요합니다.

한국에서도 코스트코 같은 모델이 나오기는 유통구조가 하두 XX같아서 어렵겠지만,

지금 당장 기존의 비즈니스의 형식과 본질, 조직을 떠나서 자유로운 상상을 해봐야 합니다.

변화의 움직임은 항상 변방에서부터 시작하니까요.

 

 

10. 삼성이 넷플릭스와 동맹을 거절했을까요?

http://m.media.daum.net/m/media/digital/newsview/20160327184022648

 

기사 내용처럼 특정업체에 편향이 문제였을까요?

저는 300%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삼성에게 없는 문화컨텐츠인데, 넷플릭스는 향후 미국 문화 컨텐츠의 아이콘이 회사입니다.

사실 이미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고, 아이콘 화도 되었다고 봅니다.

삼성도 가능하다면 문화 컨텐츠 사업을 하고 싶은데…

국내시장은 sk, kt, Lg u+ 등이 시장을 XX먹어서 구경만 하자니, 아픈 현실 아닐까요?

 

 

================================================================

공감뉴스

 

1. 탁월함을 위한 자부심, 그리고 사명감

http://eun5e.com/2014/06/excellence/

 

2. 브랜드가 망가지는 9단계

https://brunch.co.kr/@lunarshore/44

 

3. 리더의 올바른 독재는 언제나 찬성이다.!

https://brunch.co.kr/@supims/12

 

================================================================

참고리포트

 

1. 2015 유럽전자상거래 리포트 - 고마운 자료입니다.

http://sclplus.com/m/review/view.asp?idx=8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