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www.wisa.co.kr 해외사업부 김문성 차장입니다.
벌써 12월도 크리스마스와 연말행사만 남았네요.
시간이 빨리 지나가는 것은 무언가에 집중하고 있다는 의미에서는 좋지만,
거울에 비친 주름져가는 모습은 왠지 서글퍼지기도 합니다.
오늘은 개인적으로 한 해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 봤습니다.
아마도 제 인생에서 큰 전환을 가진 해이기 때문에 여러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몇 가지 정리해 봤습니다.
1. http://en.zalora.co.th/women/korean-imported/
아무래도 태국에 정상적인 역직구 서비스를 오픈 한 게 큰 이슈였습니다.
앞으로 현지 물류시스템 극복과 시장 점유를 높이는 방법, 다른 국가로 확장 등
내년이 더 기다려지는 이유입니다. ^^
2. 세계로 발걸음을 옮기다.
연장선에 있는 부분이지만, 올해 중국(상해)와 태국을 다녀오면서
견문을 넓히는 큰 계기가 되었습니다.
비즈니스를 어떻게 만들가? 를 생각하며 다니니 많은 것이 새롭게 볼 수 있는 좋은 기회 였습니다.
내년 부터는 어떻게는 해외에 더 나가서 뭔가 채워올 수 있는 일이 더 자주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3. 다양한 서비스 기획
연초에 기회가 되어 통합영수증 서비스, 소설커머스 관리자단 (오프라인 포스포함)
컨설팅 및 초기 기획을 했습니다.
물론 실행 및 완료까지는 진행을 못 했지만, 개인적으로 온라인커머스 이외에
서비스기획을 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여서 실패는 했지만, 좋은 경험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는 제가 페이스북으로 공유하는 뉴스 중에서
온-오프 커머스 관련 이슈 사항들을 정리해서 비정기적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084168389
간혹 좋은 비즈니스 아이디어나 요청을 주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덕분에 저도 공부가 될 때도 많고 힘을 얻을 때도 있습니다.
감사한 마음으로 조금이라도 좋은 정보가 공유되고 사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번호는 2016년을 전망하는 리포트 위주로 구성을 했습니다.
1. 2016년 경제전망_LG경제연구원
대부분의 대기업 경제연구원에서 장기불황에 대한 요소와 저 성장률을 예상했습니다.
LG 경제연구원에서는 2%대 경제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체감하는 성장율은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마도 정부에서는 3%대 성장을 이야기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치열한 생존 경쟁의 시간들입니다. 국내 보다는 해외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2. 거대 기업도 스타트업 처럼 _LG경제연구원
너무 빠른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작은 조직의 유니크한 움직임입니다.
기존의 대기업도 스타트업 회사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모습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습니다.
행동한 후에야 시장이 제대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 오랜 시간 계획과 준비를 하다가 시기를 놓치기 보다는 목표를 봤으면 활을 당기는 즉시 쏘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3. 2016 소셜 미디어 마케팅 트렌드 TOP7 _ 디지에코
SNS와 모바일 앱 & 모바일 웹의 마케팅이 주류를 이룰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다만 현재 국내에서 가장 큰 이슈는 로그분석의 문제일 것 입니다.
해외에서는 얼마나 트레픽을 일으켰냐의 관점이 주요하지만,
국내에서는 전환의 비율과 리포트를 더 중요시 하다보니,
많은 마케팅 채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대중적인 모바일 로그분석 서비스가 나오리라 예상해 봅니다.
4. 모바일 네이티브 세대, 20대 모바일 콘텐츠 이용실태조사 _ 디지에코
모바일 네이티브 세대, 20대 모바일 및 콘텐츠 이용실태조사.pdf
현업에 계신분들은 본능적으로 체감하고 있을 부분이겠지만,
연령별로 서비스별로 이용율을 수치화해서 제공하는 좋은 자료 입니다.
내년도 사업계획시 지표로 삼을 자료가 많습니다.
5. 해외직구 시장규모 전망과 시사점 _ 현대경제연구원
기존에 제가 뉴스로 공유 했던 내용들이 많은데,
리포트로 잘 정리된 자료입니다.
개인적으로 현대경제연구원은 다양한 산업군에 대한 리포트가 많은데,
리포트 폼이 너무 올드해서 가독성은 좀 떨어집니다. ^^;
6. 온라인 해외직판 Version 2.0을 향한 과제 _ 한국무역협회
(KITA 연구보고서) 온라인 해외직판 ver2.0을 향한 과제.pdf
외국 소비자의 한국상품에 대한 인식조사가 잘 되어 있는 리포트 입니다.
해외역직구 서비스에 관심이 있다면, 어느 부분을 개선 또는 해결 해야 할지
잘 정리되어 있는 리포트 입니다.
7. 온라인 소매기업의 경쟁 기반 평가와 시사점 _ 현대경제연구원
온라인 소매업의 경쟁 기반 평가와 시사점_현대경제연구원.pdf
온라인 소매 영업을 하는 시장 규모와 앞으로의 방향을 읽을 수 있는 자료 입니다.
8. LOT 비즈니스_서비스 혁신을 통한 산업 리모델링 _ 디지에코
IoT 비즈니스_ 서비스 혁신을 통한 산업 리모델링.pdf
어떤 산업군이 LOT비즈니스로 연계하여 가능성이 있을지 점검을 해본 리포트 입니다.
리포트 작성하신 분이 시장을 폭넓게 이해하고 계셔서 개인적으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9. 콘텐츠와 기술을 만나 매력을 더한 모바일 광고 _ 디지에코
컨텐츠를 모바일로 어떻게 유통할 것인가를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마케팅 관련 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참고가 될 만 합니다.
물론, 선수님들은 디바이스 및 매체가 바뀐 걸로 인식하실 수도 있겠지요.
10. 창업 관련 국민의식 변화와 시사점 _ 현대경제연구원
창업 관련 국민의식 변화와 시사점_현대경제연구원.pdf
주위에 원하든 원지 않은 창업에 대한 관심은 불경기가 장기화 될 수록
높아지리라 생각됩니다. 가독성은 좀 떨어지는데, 리포트 내용은 창업관련 인식조사와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기타
식료품 트렌드 리포트 2015
http://www.opensurvey.co.kr/blog/food-trend-report-2015-2
개인적으로 식품관련 모임도 참여를 하고 있고,
패션, 뷰티, 유아동 다음으로 관심을 가지는 카테고리 입니다.
물론, 본인들이 원래 가지고 있는 탤런트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개인적으로 식품관련 프로젝트를 만들라고 한다면
천연주스, 간편식, 유아식 이렇게 3가지 시장만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6년 정부R&D사업 부처별 합동설명회
http://www.keit.re.kr/article.do?psStep=view&bbsCD=notice&BIdx=110897&gbn=03_31
내년도 정부지원사업을 부처별로 합동설명회를 하네요.
저도 참여를 해 봐야겠습니다.
----------------------------------------------------------------------------------------------------------
시대의 흐름이 시간과 비용의 효율성만 따지다 보니, 연말 분위기를 느낄 여유가 없네요.
아마도 마음의 여유보다는 불안한 마음이 더 많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올해를 뒤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이 하루 정도는 주어지면 참 좋겠습니다.
저는 서울에서 혼자 살다 보니 가족과 따뜻한 연말을 보내는 게 부러울 때가 많습니다.
많은 모임에 시달리겠지만, 나를 위한 하루와 가족을 위한 하루를 쓸 수 있는 연말이 되시길 빕니다.
'내 멋대로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제33호] (0) | 2016.02.01 |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제 32호] (0) | 2016.01.10 |
[김문성의 내 멋대로 뉴스 제 30호] (0) | 2015.12.01 |
[김문성의 내 멋대로 뉴스 제 29호] (0) | 2015.11.08 |
[김문성의 내 멋대로 NEWS 제 28호] (0) | 2015.10.18 |